본문으로 바로가기

네트워크 설정

category 자기개발/리눅스 2019. 1. 20. 21:05


1.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 (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ifcfg-ethX)


 NIC(Network Interface Card) 랜카드에 대한 설정이 되어 있는 파일로 network 데몬이 부팅 시 읽어들인다.

 NIC 추가

 VMWARE -> setting -> add -> network adapter 을 이용해 NIC를 추가 가능하다.(ifcfg-eth1 파일 추가됨)



#vi 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ifcfg-eth0


# NIC 카드의 장치명

DEVICE=eth0

# LAN의 통신방식(이더넷)

TYPE=Ethernet

# 부팅 시 작동여부

ONBOOT=yes

# GUI 모드에서 편리한 네트워크 설정 허용

NM_CONTROLLED=NO

# IP부여방식 (static, DHCP 등)

BOOTPROTO=static

# 해당 NIC의 IP 주소

IPADDR=192.168.10.100

# 서브넷 마스크

NETMASK=255.255.255.0

#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 시 거쳐가는 통로

GATEWAY=192.168.10.1

# 도메인 주소에 대한 IP주소를 갖고 있는 주소(KT DNS)

DNS1=168.126.63.1

# (Google DNS)

DNS2=8.8.8.8


 - NM_CONTROLLED=NO


NetworkManager 데몬이 해당 장치를 제어할 수 없도록 설정하다

X-Windows 환경을 구성한 시스템에 자동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GUI 환경에서 icon 이나 그래픽 메뉴를 통해 네트워크 설정을 돕는다

network 데모과 충돌을 일으키는 문제에 의해 부팅시 해당 설정을 해준다




2. 사용여부 설정 (/etc/sysconfig/network)

 

 네트워크 사용여부와 호스트 이름에 대한 설정이 위치한 파일이다 


#vi /etc/sysconfig/network


# 네트워크 사용 여부

NETWORKING=yes

# 영구적으로 호스트 이름 변경 가능

HOSTNAME=Top-Server



3. DNS 설정 (/etc/resolv.conf)

 로켈 네임 서버의 IP주소가 저장 되어있는 파일이다. reboot 될 시 NIC 내용을 참고해 파일이 구성된다.


#vi /etc/sysconfig/network


nameserver 168.126.63.1      # KT DNS

nameserver 8.8.8.8             # Google DNS


 - 파일을 수정함으로써 DNS를 일시적으로 변경 시킬 수 있다. #service network restart 시 다시 NIC 파일에 있는 내용으로 덮어씌워 진다. 

 - 최소 1개에서 최대 6개 까지 지정해 줄 수 있다. (위에서 아래로의 우선순위)


[참고]

http://webdir.tistory.com/116